오늘은 바로 대망의 피크닉 마왕
샌드위치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입니다!
빵 + 스프레드 + 주재료 + 부재료 + 양념
으로 구성된 샌드위치는 어떤 빵이든지
가리지 않고 점심 등의 간단한 식사로
서양인들이 정~말로 많이 찾는 음식이에요
햄버거도 이 샌드위치의 진화
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텐데요
빵 뚜껑이 있냐 없냐로
오픈 샌드위치, 클로즈드 샌드위치
라고 분류를 하는데
오픈 샌드위치의 특성상
빵을 플레이트 라고 생각하고
주재료들을 예쁘게!
데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부르스케타, 카나페 등이 있어요
이외에도 피타 브레드, 또르띠야
처럼 롤 샌드위치도 있고
아래의 사진처럼 자르는 방법이나
손가락처럼 길쭉하게 잘라서 먹는
핑거 샌드위치도 있습니다
샌드위치 만드는 순서는
빵 선택
스프레드 선택
주재료 선택
부재료 선택
가니쉬 선택
마지막 플레이팅
인데요
제일 먼저 해야만 하는
샌드위치의 주 식감의 원천!
바로 어떤 빵을 선택하냐 입니다.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시며
베이글, 포카치아, 크로와상, 식빵
피타 브레드, 나안 브레드, 치아바타
등을 눈으로 봐주세요
다 보고 나시면 자연스러운 의문!
포카치아와 치아바타의 차이점
피타 브레드와 난의 차이점
등이 생기실거에요~
저만 그런가요? ㅎㅎ
제가 제빵 전문이 아니라 큰 차이는
알지 못하지만 간단한 구별법이 있죠~
우선 포카치아는 올리브 가득입니다!
올리브유로 반죽하고 올리브도 넣고
기타 재료가 빵 반죽에 들어가서
함께 구워져 나오다 보니 빵 위에
여러가지 재료들이 함께 나오죠?
치아바타는 그냥 밀가루 반죽입니다
피타 브레드는 발효를 거쳐 만든 빵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납작한 빵이 아니라
원형의 둥그런 빵 모양을 하고 있어요
나안 브레드는 인도의 상징!
같은 빵인데 여기에
밥이랑 카레 얹어먹으면 꿀맛...
이것도 맞지만 ㅋㅋㅋㅋㅋ
난 브레드는 밀가루 반죽하고
바로 후라이팬 위에 굽습니다
철판 등에 골고루 익히면 끝!
스프레드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빵을 젖지 않게 코팅해주는 역할과
재료들 간의 접착제 역할,
샌드위치 맛의 상승, 식감등에
많은 역할을 하는 스프레드는
단순히 소스를 짜서 펴바르는
단순 스프레드와
여러 소스를 섞어 만드는
복합 스프레드로 나뉩니다
당연히~
복합 스프레드가 더 맛있겠죠?
머스터드 스프레드
머스터드 + 버터
엔초비 스프레드
엔초비 + 버터/마요네즈
견과류 버터 스프레드
견과류 찹 + 버터/마요네즈
사워크림 스프레드
딜 찹 + 사워크림 + 추가(마요네즈)
그린페퍼 스프레드
그린페퍼 찹 + 파슬리 찹 + 마요네즈
레몬 버터 스프레드
레몬즙 + 버터
허니 크림치즈 스프레드
허브 찹 + 크림치즈
바질 페이스트 스프레드
바질 퓌레 + 올리브 오일
타페나드
올리브 + 엔초비 + 케이퍼 + 올리브 오일
속에 들어가는 주재료가
뜨겁냐 차갑냐고
핫 샌드위치, 콜드 샌드위치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핫 속재료
육류 패티 + 그릴한 야채 + 샐러맨더한 치즈
생선 패티 + 그릴한 야채 + 샐러맨더한 치즈
그릴한 야채
루벤 샌드위치, 햄버거 샌드위치
샐러맨더가 상판 가열조리기구이지
샐러맨더한 치즈는 녹인 치즈라는 뜻!
콜드 속재료
파스트라미, 살라미, 프로슈토,
하몽, 본레스 햄, 소시지
훈제 연어/송어/참치, 참치 통조림, 게살
마요네즈에 버무린 재료, 유제품에 버무린 견과류,
신선한 야채, 과일 등이 있습니다.
*파스트라미
양지머리를 염지, 건조, 훈연한 것!
*프로슈토
생고리를 염지, 발효한
이탈리아 전통햄
보통 피크닉이나 외출용으로
많이들 싸가시는 이 샌드위치는
조리해서 바로 먹는게 아니라면
콜드 샌드위치가 더 편하겠죠?
가니쉬라고 부재료로 분류하는데
양상추, 로메인, 치커리, 라디치오,양배추,
루꼴라, 토마토, 오이, 당근 등
적채 싹, 알파파, 브로콜리 싹, 메밀 싹 등
파인애플, 사과, 바나나, 아보카도,
오렌지, 망고, 메론 등이 있고
양념으로는
올리브, 피클, 렐리시 등의
촉촉한 양념이 있고
소금, 후추, 스파이스 믹스, 카이엔 페퍼,
케이준 스파이스, 허브 솔트,
갈릭 파우더, 올스파이스 등이 있어요~
여기서 잠깐!
샌드위치 포장법 등이 궁금하다면??
'조리사자격증 > 양식조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양식 에피타이저 종류와 만드는 법/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독학 - 5 (0) | 2021.06.28 |
---|---|
#4 맑은 스톡 끓이는 법/스톡조리방법/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독학 - 5 부케가르니, 미르포아, 화이트스톡, 브라운스톡, 부용 끓이는 법 (0) | 2021.06.28 |
#3 양식조리방법/로스트, 훈제, 테린, 갈라틴, 세비체, 콩디망, 그라탕의 뜻/ 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독학 (2) | 2021.06.26 |
#2 양식의 식사/브런치 뜻/브랙퍼스트, 런치, 런천, 디너, 서퍼, 에피타이저, 수프, 앙트레, 샐러드, 빵, 샐러드/양식코스요리순 (2) | 2021.06.25 |
#1 각 나라별 음식 특징/양식조리개요/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양식조리기능사 필기 독학하기 (2) | 2021.06.25 |